RE:YOUTH 소개

RE:YOUTH 소개

RE:YOUTH 는 대한민국의 외국인 환자 전문 유치 기관으로
전 세계의 난치병 환자들을 대한민국의 선진 의료 기술인 동맥 줄기세포 치료를 통해

제 2의 삶을 누릴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.

오직 대한민국의 RE:YOUTH 를 통해서만
전 세계에서 유일한 시술 방법인
동맥을 통한 줄기세포 시술관련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줄기세포 이식, 정맥이 아닌

동맥에 해야 하는
명확한 이유

특정 장기 기관의 혈관으로 동맥 줄기세포 이식은
전 세계에서도 찾기 어려운 수 있는 치료법이며
오직 RE:YOUTH를 통해서만 안내가 가능합니다.

기존의 줄기세포 치료 방식

정맥 혈액으로 줄기세포 추출
(산소포화도 ↓, 영양분 ↓, 노폐물 ↑)

줄기세포 정맥 주입
(폐에서 줄기세포 80% 정도 소실)

심박출량 대비 특정 신체장기에 투입되는 줄기세포는 극히 적음

(예. 뇌 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투입시)
❶ 10억셀 투입시 8억셀 폐에서 소실

❷ 2억셀 중 심박출량 대비 뇌혈류량 20%인 4천만셀만 뇌로 투입됨

❸ 10억셀 투입시 결국 뇌로가는 줄기세포는 4천만셀 밖에 투입되지 않음

줄기세포 선택적 주입 장기 불명확

RE:YOUTH만의 새로운 줄기세포 치료 방식

동맥 혈액으로 줄기세포 추출
(산소포화도 ↑, 영양분 ↑, 노폐물 ↓)

줄기세포 동맥 주입
(필요 장기 100% 주입 가능)

심박출량 대비 특정 신체장기에 흐르는 혈류량과 관계없이
투입된 줄기세포의 100% 셀 수가 표적장기에 투입 가능

(예. 뇌 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투입시)
❶ 10억셀 투입시 뇌혈관을 통해 직접 10억셀 모두 뇌로 투입이 가능

❷ 즉, 정맥 줄기세포 투입보다 25배의 줄기세포 투입에 대한 효과차이가 있음

필요 장기 고노동 줄기세포 100% 선택주입 가능

한국으로 방문하는 외국인 환자들을 공항 픽업, 숙소 안내, 시술일 병원 안내,
회복 후 요청시 한국 관광 안내, 귀국시 공항 샌딩, 사후 건강 관리까지

RE:YOUTH는 세계 유일한 줄기세포 시술법과 함께
글로벌 의료 산업, 의료 관광의 선구자가 되겠습니다.

세계적 수준의 동맥 줄기세포 치료

글로벌 의료 산업의 선구자

VIP 의료 관광 및 건강 관리

줄기세포 치료 대표 원장 소개

Journey of
More than 30 years..

혈관내 시술을 하는 동안 어떻게 하면
좀 더 안전하고, 좀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를
수도 없이 계획하고, 실행하고, 재검토하여
더 나은 시술 방법을 찾아내는 과정
30여년의 기나긴 여정이었습니다.

신촌세브란스병원과 대학교수 생활을 하는 동안 4만 5천건 이상의 혈관 검사와 1만건 이상의 혈관 내 시술을 하게 되었고, 이 과정에서 국내 최초의 시술방법들을 찾아내어 국내외 여러 학회에서 발표함으로써 현재는 국내외에서 보편적으로 시행하는 시술방법이 되었습니다.

이 모든 과정은 “어떻게 하면 한명이라도 더 많은 환자에게 보다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까”, “어떻게 하면 한명이라도 더 새로운 환자에게 보다 더 효과적인 시술을 제공할 수 있을까” 하는 환자를 생각하는 정성어린 마음의 산물이었습니다.

저희 연세BH의원은 앞으로도 누구도 하지 못한 분야에 앞장서 나가겠습니다.
그동안 치료받지 못하고 외면받던 분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드리겠습니다.

연세BH의원 대표원장 

이병희 원장

약력

  •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
  • 세브란스병원 인턴 및 전공의
  • 세브란스병원 펠로우십
  • 분당차병원 조교수
  • 을지대학병원 주임교수
  • 천안충무병원 뇌혈관센터장 역임
  • 경동맥 스텐트 국내 최초 시술 (1997)
  • 두개내 뇌혈관 스텐트 국내 최초 시술 (1998)
  • 대한 뇌졸중학회 창립 기념 초청 강의 (2000)
  • 뇌동맥류 스텐트 지지하 백금코일 색전술 국내 최초 시술 (2002)

학회활동

  • 대한영상의학회 정회원
  • 대한 신경중재치료의학회 창립회원
  • 대한 뇌졸중학회 창립회원
  • 미국 뇌졸중학회 정회원
  • 세계 뇌졸중학회 정회원
  • 세계 뇌혈관시술학회 정회원
  • 유럽 뇌혈관시술학회 정회원
  • 인터벤션학회 정회원
  • 해외 및 국내 논문 발표 (SCI) 24편
  • 해외 및 국내 강의와 발표 50회
  • Significance of clopidogrel resistance related to the stent-assisted angioplasty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cerebrovascular disease. J Korean Neurosurg Soc 2011 July;50:40-44
  • Reconstructive endovascular treatment of ruptured blood blister-like aneurysms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. 2009 Journal of Neurosurgery 110(3):431-6
  • Various technical approaches for endovascular treatment of ugly aneurysm. J Korean Society of Intravascular Neurosurgery 2008 Oct;3:24-33
  • Blister-like aneurysms of the supraclinoid internal carotid artery: Challenging endovascular treatment with stent-assisted coiling.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2008 15(9):1058-61
  • Pre-operative embolisation of internal carotid artery branches and pial vessels in hypervascular tumours. Acta Neurochirurgica(Wien) 2008 150(5):447-52
  • Cognitive dysfunction in 16 patients with carotid stenosis: detailed neuropsychological findings.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2007 March;3(1):9-17
  • Endovascular treatment of intracranial vertebral artery dissections with stents placement or stent-assisted coiling. Am J Neuroradiol 2006 Aug;27:1514-20
  • Stent-assisted angioplasty of symptomatic intracranial vertebrobasilar artery stenosis. Am J Neuroradiol 2005;26:1381-88
  • Techniques for intracranial stent navigation in patients with tortuous vessel. Am J Neuroradiol 2005;26:1375-80
  • Preliminary results of endovascular stent-assisted angioplasty for symptomatic middle cerebral artery stenosis. Am J Neuroradiol 2005;26:166-174
  • Treatment of spontaneous arterial dissection with stent placement for preservation of the parent artery. Acta Neurochir(Wien) 2005;147(3):265-73
  • Elective stenting for symptomatic middle cerebral artery stenosis presenting as transient ischemic deficits or stroke attacks:Short term arteriographical and clinical outcome.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4;75:847-851